바나나는 맛뿐만 아니라 폴리페놀, 펙틴, 칼륨, 베타카로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몸에도 좋은 과일입니다.
바나나는 덜 익은 상태에서 수확되어 갈변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한계온도(13~14도)를 맞춰 전 세계로 유통이 되는데 수확할 때 바나나는 녹색이지만 호흡하며 생기는 에틸렌 가스(과일의 성분을 변형시키는 가스)로 인해 빠르게 후숙 되는 과일 중 하나입니다. 바나나가 후숙이 되기 시작하면 초록, 노란색을 거처 점차 갈색반점이 생기기 시작하는데 이걸 상했다 생각하고 버리시면 안 됩니다. 반점이 생기기 시작하면 녹말성분이 당으로 바뀌면서 완숙이 되었다는 신호로 당도가 최상으로 맛이 제일 좋은 상태를 뜻합니다. 바나나는 갈변이 될수록 시각적으로 다소 별로일 수 있으나 영양소는 점점 올라갑니다. 갈변된 바나나가 그냥 바나나에 비해 약 8배 정도 영양소가 증가합니다. 하지만 속까지 검게 되고 물러지면서 냄새가 난다면 상한 것으로 드시지 말고 버려주세요. 완전갈변이 되면 영양소가 오히려 감소하며 상하게 됩니다.
∫ 바나나 구매 팁
바나나를 고를 때는 섭취 일에 따라 경우가 달라집니다. 2~3일 내에 모두 섭취할 경우 끝부분에 녹색이 거의 없는 밝은 노란색을 선택해주고 3~5일 이내에 섭취할 시 끝부분에 녹색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껍질과 줄기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 후 골라 주세요. 오래 두고 먹을 거라면 초록색 바나나를 구입해서 후숙 하여 드시면 됩니다. 바나나 외형은 목 부분의 길이가 짧고 몸통이 뭉통하며 껍질에 상처가 없고 매끈한 것이 좋은 바나나입니다. 얼룩덜룩한 갈색 반점은 잘 익었다는 증표이니 괜찮지만 상처가 있거나 움푹 파인 어두운 점이 있는 멍이 든 바나나는 피해 주세요. 껍질이 갈라져 있는 바나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 바나나 보관법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바나나 보관법은 실온보관입니다. 익지 않은 바나나를 그대로 냉장고에 넣으면 후숙이 진행되지 않을뿐더러 검게 변하고 맛이 떨어집니다. 추위는 바나나가 다 익기 전에 세표벽을 파괴하여 멜라닌색소가 생성되도록 하고 바나나를 완전히 검게 변하게 합니다. 잘 익은 바나나를 먹고 싶다면 옷걸이나 바나나 스탠드를 활용해 걸어 주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 주세요. 걸어서 보관하면 멍이 들거나 과육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바나나를 평평한 곳에 보관하면 무게가 아래로 집중되어 껍질과 과육이 물러지기 쉽습니다. 뒤집지 않고 바나나를 놓게 되면 아래 2~3개의 바나나는 먹지 못할 정도로 물러 버립니다.
바나나 냉장보관
바나나는 냉장 보관하면 안 된다는 루머가 있는데 바나나는 냉장 보관을 하셔도 됩니다. 바나나를 냉장 보관하면 실온 보관 했을 때보다 껍질의 갈변이 빨리 나타나는 현상을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바나나는 냉장고 속을 냉해로 인식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폴리페놀을 분비합니다. 이때 폴리페놀이 산화되어 검게 변하게 됩니다. 이 때문에 마치 변질되는 것처럼 보여서 바나나를 냉장 보관하면 안 된다는 루머가 퍼진 것으로 보입니다. 바나나는 냉장고에 들어갔을 때 갈변 현상만 있을 뿐 과육은 신선한 상태를 더 유지합니다. 단 바나나는 수분이 많지 않아서 그냥 보관할 경우 수분이 빠져나가 건조해지므로 알맞은 방법으로 보관해 주셔야 합니다. 먼저 어느 정도 후숙 된 바나나 송이를 낱개로 하나씩 분리해 줍니다. 바나나 꼭지에는 각종 세균이 많고 에틸렌 활성이 활발한 부분으로 바나나를 금방 상하게 해 양쪽 끝을 잘라 제거해 줍니다. 바나나는 랩으로 돌돌 말아 공기와 차단시켜 주면 에틸렌의 확산을 막아 갈변현상을 늦출 수 있습니다. 또한, 바나나는 냄새를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음으로 싸서 보관하면 좋습니다. 밀폐 용기에 차곡차곡 넣고 한 번 더 밀봉해 주면 10일은 보관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변질하기 쉬운 여름에는 후숙 후 필수로 냉장 보관해 주세요.
바나나 냉동보관
검은 반점이 생겼을 때 바로 냉동을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더욱 오래 보관하려면 바나나의 껍질을 벗겨 과육을 분리해 줍니다. 1회분씩 소분하여 지퍼팩에 넣어 밀봉합니다. 용기에 넣고 냉동실에 얼리면 냉 과로 즐길 수 있으며 6개월간 보관이 가능합니다. 또한 바나나가 냉동될 경우 노화를 방지하는 영양소 폴리페놀이 더 활성화된다고 합니다.
※ 멍든 바나나 먹어도 괜찮을까?
바나나가 물렀거나 껍질이 찢어져 틈이 생기면 공기에 노출되어 산소가 바나나 과육에 있는 효소와 작용해서 내부를 갈색 또는 흑색으로 변화시킵니다. 검게 변할 수 있으나 드시는데 무방합니다. 바나나는 상상하는 것보다 오래 먹을 수 있는 과일입니다. 바나나에 곰팡이, 초파리 또는 초파리알의 흔적이 없다면, 얼마나 물렀든 얼마나 검든 먹을 수 있습니다. 너무 익을 경우 바나나가 익으면서 자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송이에서 떨어져 버릴 수 있습니다. 눈으로 보면서 슈가 포인트가 생기기 시작하면 드시면 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발 속 발냄새 없애는 방법 (0) | 2023.01.01 |
---|---|
새우젓 구매 방법과 종류, 보관 방법 (0) | 2022.12.25 |
돈이 되는 희귀 동전들의 가격과 판매 방법 (0) | 2022.12.11 |
계란 구입 방법(좋은 계란 고르는 방법,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보관 방법) (1) | 2022.12.08 |
욕실 곰팡이 제거에 락스보다 좋은 EM용액 (EM용액 사용방법) (0) | 2022.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