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줄기세포 정의, 종류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본문 바로가기
건강

줄기세포 정의, 종류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

by 제이에스지 2023. 2. 3.

오늘은 줄기세포가 무엇이고 어떤 종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떤 줄기세포가 주로 사용되고 어떻게 추출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줄기세포 정의

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모든 세포와 조직으로 바뀔 수 있는 미분화 상태의 세포로 스스로 증식하는 자가재생능력과 여러 가지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분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줄기세포는 적절한 조건이 갖춰진다면 분화(어떠한 세포가 다른 특징을 잦는 세포로 바뀌는 것)가 이뤄지며 각각의 기능과 형태가 바뀌게 됩니다. 기존에 치료가 어려운 희귀 난치성 질환(류머티즘 관절염, 시신경 척수염, 아밀로이드증, 크론병 등)을 치료하기 위해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이미 안전성을 허가받아 여러 가지 질환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줄기세포 종류

줄기세포는 베아줄기세포, 역분화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3가지로 분류됩니다.

  • 배아줄기세포 - 수정란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로 사람의 모든 신체 조직으로 분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재생의료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암세포로 변할 위험성이 있으므로 병원에서 임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합니다. 또한 인간의 초기 생명을 해치고 인간 복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생명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존재합니다.
  • 역분화줄기세포 - 성인의 체세포에 4가지의 특정 유전자를 도입하여 배아줄기세포의 성질을 갖도록 유도한 세포입니다. 윤리적 문제를 피할 수 있지만 낮은 분화율과 여전히 존재하는 암 발생 가능성 때문에 임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성체줄기세포 - 실제 임상이나 관련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줄기세포는 바로 성체줄기세포입니다. 성체줄기세포는 골수, 혈액, 피부, 지방 등 우리 몸속 곳곳에 이미 존재하는 어른 세포를 의미합니다. 성체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역분화줄기세포 보다 분화 능력이 낮지만 윤리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고 면역 거부 반응과 암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없는 안전한 세포입니다.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임상적으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차세대 임상 치료의 원천으로써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 성체줄기세포 추출위치

치료제로 사용되는 성체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어디서 추출할까요? 성체줄기세포는 일반적으로 제대혈, 골수, 지방에서 추출합니다. 이 중에 제대혈줄기세포와 골수줄기세포의 사용이 힘든 이유는 제대혈줄기세포는 출산 시에만 채취 가능한 세포로 미리 보관해 놓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 골수줄기세포는 채취가 어렵고 추출할 수 있는 줄기세포의 양이 적습니다. 이에 반해 지방줄기세포는 우리 몸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고 추출할 수 있는 줄기세포의 양이 많습니다. 골수는 1cc당 1000개에서 10000개, 혈액은 1cc당 50개에서 100개의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 반면 지방 조직은 1cc당 60만 개에서 300만 개의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골수, 혈액줄기세포와 비교했을 때 대량 생산이 쉽고 분화능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에서 줄기세포 치료에 있어서 지방줄기세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성체줄기세포 연구는 지방줄기세포를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병원에서는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미용 시술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 줄기세포의 특징과 효과

줄기세포는 신체의 손상된 부위를 알아서 이동하여 재생하는 호밍효과, 세포 분열을 통해 자신과 같은 구조의 세포를 스스로 만들어내는 자가재생능력, 구조와 기능이 다른 세포로 변화할 수 있는 다분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면역력 향상과 안티에이징 효과를 가진 줄기세포를 통해 노화를 비롯한 각종 퇴행성 난치성 질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