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LX세미콘 기업정보 및 주가정보
본문 바로가기
주식

LX세미콘 기업정보 및 주가정보

by 제이에스지 2022. 8. 20.

 

LX세미콘

 

 목차
1.기업정보
2.주식정보
3.사업내역 및 전망

 

 

기업정보

 

LX그룹 계열의 디스플레이용 시스템 반도체 부품 제조업체이다.

LX세미콘은 반도체 개발 및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LG 그룹에 소속되어 있다. Display Panel을 구동하는 핵심부품(System EC)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Display 단일 사업 부문으로 구성되어있다.

생산설비가 없는 팹리스(Fabless) 업체로 전량 반도체 전문 생산업체(Foundry)에서 외주생산. 주요 제품으로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핵심부품인 패널구동 IC와 Data 신호전달 및 제어부품(T-CON), 전원 관리 IC(PMIC)등. 5월 17일 차량용 반도체 설계를 주력으로 하는 텔레칩스 지분 취득 결정을 했다.

 

◎ 주요제품 매출 구성 - System IC(100%)

 

 

 

주식정보

 

  • 시가총액 - 17,077억
  • 시가총액 순위 - 코스닥 20위
  • 자본금 - 81억
  • 상장주식수 - 16,264,300
  • 액면가 - 500원
  • PER - 5.76배
  • PBR - 2.13배
  • 배당수익률 - 3.22%

 

LX세미콘 주가 (주봉차트)

 

 

 

주요 사업내역

 

국내 제품의 경쟁력 강화

 

LX세미콘의 주력제품은 Driver-IC, T-CON, PMIC이며 Mobile향 P-OLED DDI, Touch Controller 등으로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해 매출 성장 중에 있다.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2% 증가, 영업이익은 115.9% 증가, 당기순이익은 91.4% 증가했다. LX세미콘의 주요 제품인 Driver-IC는 당기 전체 매출액의 88.2%(전기 8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비중은 매출액의 99.6%로 구성되어있다.  Display시스템 반도체 핵심 부품을 Total Solution으로 제공함은 물로 수입의존도가 높았던 제품들을 국산화하였다.

 

 

앞으로의 전망

 

LX세미콘은 2022년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전 세계 경기 둔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태 장기화 등 매크로 불확실성 영향으로 IT기기 수요가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부품 공급 차질을 우려한 전방 패널 업체들의 재고 축적 수요가 상반기 동안 이어지면서 DDI 출하는 견조했다. LCD TV 향 DDI 출하량은 소폭 감소했지만 프리미엄 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OLED TV 향 DDI 출하량은 증가했다. 또한 중국 봉쇄 조치로 생산에 차질이 발생했던 IT, 태블릿향 DDI 출하량은 15~20%가량 감소한 반면 P-OLED 향 모바일 DDI 출하량은 5~10%가량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달러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제품 믹스 변화와 신사업 관련 인력 충원,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률은 18%를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하반기는 디스플레이 부품 재고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한다. 전 세계 TV 판매 부진으로 하반기 들어 시장 내 TV 세트/패널 재고가 상당히 높아졌다. 당시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현재 주요 TV 세트 업체들의 재고량은 9주 수준으로 평상시의 5주 대비 높다. 이로 인해 TV 세트 업체들은 더 이상 재고가 쌓이는 것을 막기 위해 6월부터 패널 구매를 줄이고 있다. 또한 주요 패널 업체들도 캐시코스트(현금 비용) 밑으로 떨어진 LCD 패널 가격 하락세를 방어하기 위해 가동률 조정 움직임이 뚜렷하다. 패널 업체들의  월평균 가동률은 6~7 월에 약 70%로 사상 최저 수준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하반기 DDI, 편광필름 등 핵심 부품들의 출하량 감소가 불가피하다. 다행히 동시의 주력 고객사인 LG 디스플레이는 중국 봉쇄 조치 영향으로 출하가 지연된 북미 고객사향 노트북용 패널과 아이폰 14 신제품 출시에 따른 P-OLED 패널 생산량이 3분기에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프리미엄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OLED TV 패널 출하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다만 중국 고객사인 BOE, CSOT의 중대형 LCD 패널 생산량 조정 영향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저성장 산업인 LCD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대만 Novatek과 달리 LX세미콘은 OLED 사업 비중이 약 45~50%에 달해 올해와 내년에도 꾸준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향후 LX 그룹의 성장을 견인할 계열사 내 핵심 위치에 있는 LX세미콘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준비 중인 여러 가지 신사업(SIC PMIC, MCU, BMS IC 등)도 점차 구체화될 경우 주가 멀티플 리-레이팅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LX세미콘은 코스닥 시장에서 코스피 시장으로의 이전 상장 추진에 기대감을 더욱 키워가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