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인터내셔널 기업 정보
POSCO그룹 계열의 종합상사.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인도네시아 등에 해외 법인을 두고 무역, 생산, 판매, 유통, 자원개발분야 등의 사업을 영위. 무역부문은 철강 및 철강원료, 부품소재, 식량소재, 자동차부품, 화학, 플랜트 등을 주요 품목으로 취급. 에너지 부문은 2013년 7월부터 생산 및 판매를 시작한 미얀마 가스전을 필두로 에너지 사업 개발/운영, 수소 및 LNG 인프라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투자 등 부문은 국내외 투자 자회사로 구동모터코아, 호텔, 면방, 팜오일, 광물자원 및 에너지 개발, 곡물도정/인프라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2000년 12월 대우의 무역부문의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0년 8월 포스코가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으로부터 지분 68.2%를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됨. 2017년 포스코 P&S의 철강 등 사업부문을 흡수합병함. 2020년 4월 철강 가공사업을 물적 분할함. 수출입업, 중개업, 자원개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철강, 비철금속, 화학제품, 자동차부품, 기계, 선박 및 플랜트, 전기전자, 곡물, 원유 등이 주요 품목임.
트레이딩 분야에서는 풍력발전용 후판, API강재 등 에너지 사업 연관 철강제품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으며, 자동차강판과 건설강재 수요 증가가 이익 상승을 견인함. 에너지부문은 공급망 위기로 원유와 천연가스 등의 원자재 가격이 지난해부터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판매량과 단가수익이 모두 상승하며 영업이익이 급증함. 그룹 내 에너지 사업을 통합해 LNG사업 밸류체인을 완성을 위해 포스코홀딩스의 자회사 포스코에너지를 흡수합병할 예정임.
◆ 포스코인터내셔널 주식 정보
- 시가총액 : 39,230억
- 시가총액 순위 : 코스피 84위
- 자본금 : 8,796억
- 상장주식수 : 175,922,788
- 액면가 : 5,000원
- 결산월 : 12월
- PER : 7.54배
- EPS : 2,924원
- PBR : 0.78배
- 매출액 : 339,489억
- ROE : 10.86%
- 배당수익률 : 3.56%
최대주주는 포스코홀딩스(63.06%), 주요 주주는 국민연금공단(9.15%) 상호변경:대우인터내셔널 -> 포스코대우(16년 3월) -> 포스코인터내셔널(19년 3월)
◆ 포스코인터내셔널 주요 전망
본업 실적은 작년 하반기보다 나은 흐름 보여줄 것: 포스코인터내셔널의 4 Q22 연결기준 매출 및 영업이익은 각각 전분기 대비 11.9%, 14.3% 감소한 8조, 1,688억 원으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19% 하회하였다. 미얀마 가스전 실적은 회계적인 특성상 전분기 대비 cost recovery 비율이 하락하며 감소한 한편, 철강 trading 실적이 시황 둔화 및 포스코 포항공장 침수 영향 지속되며 다소 부진한 영향으로 파악된다. 유가 흐름을 감안할 때 최소한 2023년 2분기까지는 미얀마 가스전 ASP가 견고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철강 시황 회복과 포스코 포항공장 생산 정상화 등이 철강 trading 사업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3년 전반적인 실적 흐름은 작년 하반기 대비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룹 내 에너지 총괄 기업으로 변화: 포스코에너지와의 합병이 완료되어 명실공히 포스코그룹 내 에너지 사업을 총괄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LNG value chain이 일원화되었다는 점은, 친환경 에너지로의 온전한 전환 이전에 bridge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천연가스의 중기 수요 증가 수혜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그 방향성이 긍정적이라 할 만하다. 다만, 당장 기대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는 기존 포스코에너지가 보유한 LNG터미널을 토대로 LNG trading 물량을 빠르게 확장시켜 새로운 이익을 창출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더 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기업가치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1) LNG value chain 내 upstream, midstream, downstream 간 capacity 차이를 메우기 위한 투자 확대를 통해 이익 증가로 시너지 효과를 증명하는 한편, 2) LNG 사업뿐만 아니라 포스코그룹이 그리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 사업 전개에 있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역할이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 전자는 투자 재원 마련 방법과 성과 창출의 시기를, 후자는 그룹 전체의 중장기 전략에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위치를 각각 확인해야 한다는 불확실성이 있다. 그러나, 최소한 향후 수년간은 포스코그룹의 에너지 사업이 LNG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포스코인터내셔널 합병법인의 그룹 내 위치가 더욱 공고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기대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엔지니어링 기업 정보 및 주식 정보 (0) | 2023.02.11 |
---|---|
현대글로비스 기업 정보 및 주식 정보 (0) | 2023.02.10 |
셀트리온헬스케어 기업 정보 및 주식 정보 (0) | 2023.02.10 |
하나머티리얼즈 기업 정보 및 주식 정보 (0) | 2023.02.10 |
에스엠(SM) 기업정보 및 주식정보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