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삼성엔지니어링 기업 정보 및 주식 정보
본문 바로가기
주식

삼성엔지니어링 기업 정보 및 주식 정보

by 제이에스지 2023. 2. 11.

● 삼성엔지니어링 기업 정보

삼성그룹 계열의 글로벌 EPC(설계, 구매, 시공) 전문업체. 타당성 검토에서부터 파이낸싱,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 O&M에 이르는 플랜트 전 분야에서 종합 설루션을 제공. 엔지니어링 상품 부분에 따라 화공 업스트림, 정유, 가스, 석유화학 등의 화공 사업부와 발전, 수처리/환경, 인프라(철도, 도시개발, 도로 등) 산업, 철강 등의 비화공 사업부로 구분.

 

삼성엔지니어링은 전 세계 플랜트 시장에서 활발한 사업을 전개하는 글로벌 EPC(설계, 구매, 시공) 전문기업임. 1970년 1월 20일에 설립되어 1996년 12월 24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산업환경은 그룹 내 물량의 지속적인 발주가 이어지고, 해외 수처리 및 바이오 시장의 성장이 확대될 전망임. 동남아 등 저개발 국가 중심으로 기초산업플랜트 위주의 발주가 예상되고 있어 수요 확대 가능성이 높음.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1% 증가, 영업이익은 23.2% 증가, 당기순이익은 35.6% 증가.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였고, 비슷한 비율로 매출원가도 함께 증가하였음. 반면 판매비와 관리비는 소폭 증가하는데 그쳐 수익성이 개선, 영업이익이 증가함. 이자비용이 증가했지만 이자수익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함. 전반적인 사업부의 실적 개선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호조를 보임.

삼성엔지니어링 주요제품 매출구성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 정보

  • 시가총액 : 51,646억
  • 시가총액 순위 : 코스피 62위
  • 자본금 : 9,800억
  • 상장주식수 : 196,000,000
  • 액면가 : 5,000원
  • 결산월 : 12월
  • PER : 13.63배
  • EPS : 1.899원
  • PBR : 2.54배
  • 매출액 : 74,867억
  • ROE : 20.67%

최대주주는 삼성 SDI 외(20.66%), 주요 주주는 국민연금공단(9.64%)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주봉차트)

 

 

● 삼성엔지니어링 주요 전망

기수주 프로젝트들의 원활한 진행으로 안정적 실적 지속 중: 삼성엔지니어링의 4 Q224 Q22 연결기준 매출 및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각각 19.6%, 33.6% 증가한 2.9조, 2,145억 원으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38% 상회하였다. 멕시코 DBNR, 사우디 우나이자 및 APOC 등 2019-2021년 수주한 프로젝트들의 원활한 진행이 화공사업의 순조로운 매출에 기여했지만, 태국 타이오일 프로젝트 예정원가율 상향으로 인해 마진율은 4Q22에 둔화되었다. 그러나, 비화공사업 내 고수익 프로젝트의 비중 증가로 인한 이익 증가가 이를 크게 상쇄하여 전사 영업이익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매출 이상의 신규 수주 성공 시 실적 증가와 valuation 확대 모두 경험할 것: 회사는 2023년 신규 수주 가이던스를 작년 실적 대비 17% 증가한 12조 원으로 제시하였다. 2022년 크게 증가한 비화공 사업 수주는 과거 수주실적 range를 감안할 때 전년 대비 일부 감소할 여지가 있지만, 유가상승으로 인해 재정 여력이 풍부해진 중동 지역의 EPC 발주 증가가 회사의 화공 수주 확대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출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2023년 매출 및 영업이익 가이던스는 각각 전년 대비 4.4%, 8.8% 증가한 10.5조, 7,650억 원으로 제시하며, 견고한 실적 흐름의 연속성을 확인해 주었다. 2019년 말 수주한 사우디 우나이자 외에는 작년 실적에 기여한 기수주 프로젝트들이 2023년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2022년 수주한 말레이시아 쉘 OGP, 카타르 라스라 판 프로젝트의 실적 기여까지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코로나19 충격에서 회복된 2021년 이후 회사 주가가 P/E 7-13배 range를 형성한 것은, 견고한 실적과 화공 수주의 미미한 회복 간 간극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중동의 재정 여력 확대와 회사의 풍부해진 파이프라인(사우디, UAE, 알제리, 요르단 등이 2023년 화공 수주 기대 지역)이 실제로 올해 수주 실적으로 표현될 경우, 회사의 향후 매출 증가에 대한 확신이 강해지며 valuation range에도 긍정적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