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대한항공 기업 정보 및 주식정보
본문 바로가기
주식

대한항공 기업 정보 및 주식정보

by 제이에스지 2023. 2. 12.

▶대한항공 기업 정보

한진그룹 계열의 국내 최대 항공운송회사. 항공운송사업(여객사업, 화물사업) 외에도 항공우주사업(항공기 설계 및 제작, 민항기 및 군용기 정비, 위성체 등의 연구·개발 등) 등을 영위. 2013년 투자사업부문을 인적분할의 방법으로 분리하여 지주회사인 한진칼을 설립. 항공운송사업에서 대부분 매출액이 발생. 한국공항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대한항공 주요제품 매출구성

 

 

대한항공은 22년 9월 말 기준 총 132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국내 13개 도시와 해외 35개국 95개 도시에 취항하여 항공운송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다만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다수 노선이 운휴 상태. 운휴노선 제외 시 국내 7개 도시, 해외 26개국 52개 도시에 정기적으로 운항 중임. 여객 사업 외에도 화물 사업을 통해 반도체 부품, 의류 등 각종 재화를 운송. 또한 항공우주사업을 통해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 노력 중.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2% 증가, 영업이익은 224% 증가, 당기순이익은 717.5% 증가. 리오프닝 수요 반영되어 매출액 대폭적 상승 중. 이에 매출원가 또한 상승하고 있으나, 매출원가 상승률이 이를 상회. 여객 부문뿐 아니라 영위하고 있는 전 사업 분야에서의 매출 상승 기조. 이에 판관비, 인건비, 법인세 비용 등 또한 크게 증가하였으나, 항공여객 부문의 수요 증가가 이를 희석.

 

대한항공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대한항공 주식 정보

  • 시가총액 : 86,163억
  • 시가총액 순위 : 코스피 44위
  • 자본금 : 18,411억
  • 상장주식수 : 368,220,661
  • 액면가 : 5,000원
  • 결산월 : 12월
  • PER : 12.42배
  • EPS : 1,904원
  • PBR : 1.22배
  • 매출액 : 90,168억
  • ROE : 11.60%

최대주주는 한진칼 외(27.02%), 주요 주주는 국민연금공단(6.27%)

대한항공 주가 (주봉차트)

 

 

▶대한항공 주요 전망

Yield 하락 시작: 매출액이 전년 대비 33.5% 증가한 3.88조 원을 기록하여 기대치를 충족했으나, 영업이익은 26.6% 감소한 5,166억 원에 (OPM 13.3%, -10.9% p) 그쳐, FNguide 컨센서스를 17.8% 하회. 여객 회복세에 힘입어 국제선 RPK가 전년 대비 410% 증가하여 L/F가 39.1% p 개선된 79.7%를 달성. 한편, 화물 부문은 물동량 감소세가 이어지며 FTK가 전년 대비 21% 감소하여 L/F가 75.6%로 전년 대비 8.7% 하락.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여객과 물동량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 화물 간의 공통점은 yield 하락. LCC들과는 달리 장거리 노선과 prestige 클래스 수요 강세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던 국제선 여객 yield가 전 분기 대비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 (-3.6% q-q). 한편, 3분기 전 분기 대비 5.8% 하락한 화물 yield가 4분기 13.2% 추가 하락하여 전년 대비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 이에 따라 국제선 여객 매출이 전년 대비 429% 급증한 1.5조 원을 달성하면서 전년 대비 29% 감소한 화물 매출과 동일한 매출 비중을 달성.

 

화물-여객간 본격적인 리밸런싱 예상: 고수익 화물 매출이 여객 매출로 전환되면서 시장 기대치 대비 상반된 매출과 영업이익 흐름이 나타나는 상황. 2023년 국제선 여객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판단되나 화물부문 물동량이 정상화 수순을 밟을 것으로 판단. 늘어난 여객 운항으로 인한 밸리 카고 증가로 화물 운임이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그동안 가격 비탄력적 필수 수요에 의해 급등한 여객 yield 또한 조정을 받을 것으로 판단. 4Q 영업이익이 당사 기대치를 상회했으나 순이익은 기대치 수준에 그침. 21년 결손금 해소에 이어 22년 대규모 흑자에 따른 이익잉여금 급증으로 배당 등 향후 주주환원 강화까지 기대되는 상황.

 

 

댓글